지난 시간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의미를 찾고, 목적이 있는 곳에서 일하고 싶어 하며, 칭찬받기를 원하고, 그 어떤 세대보다 더 온라인 소통과 함께 자라온 밀레니얼 세대를 소개하였습니다.
이전 포스트
[시사 역사] - 밀레니얼 세대는 '왜 비전이 없다'고 하는가? - ①
밀레니얼 세대는 그들의 부모 세대보다 더 많은 것을 누리며 사는 것 같지만, 정작 자신은 행복하다고 느끼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동기부여 연설가인 사이먼 시넥 (Simon sinek -작가)에 따르면, 그 이유를 다음 4가지 요인에 의해 분석하였습니다.
1. 부모 교육
2. 기술
3. 조급함
4. 환경
자신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는 것과 그들은 특별하다는 말을 들으며 자랐지만, 사회에서 자신이 특별하지 않다는 것을 금방 알게 됩니다. 자신이 원한다고 해서 모든 것을 가질 수 없다는 현실을 깨닫는 순간 그들의 '자아상'은 엄청난 충격을 받게 되고, 낮은 자존감과 함께 무기력하게 됩니다. 특히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라는 SNS라는 세상을 통해 자신의 무기력함과 우울함을 감추는 방법을 일찍부터 깨닫기 때문에 현실과 다른 필터를 씌우는 일에 매우 익숙하다는 사실입니다.
현대인들에게 일상이 된 핸드폰과 소셜 미디어라는 세상은 젊은 세대에게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우리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완전히 바꿔 놓았습니다.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린 사진과 글에 누군가가 '좋아요'를 눌러주지 않으면, 불안하고, 상실감을 느끼게 되며,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하지만, 자신의 글과 사진에 '좋아요'라는 반응을 보았을 때, 희열을 느끼며, 자신도 모르게 점점 더 SNS에 중독되는 현실을 직시해야 합니다. 외롭고, 힘들 때 SNS를 통해 문자 등을 주고받는 동안 기분이 한결 좋아지는데, 바로 그때 우리의 뇌에서 '도파민'이라는 화학물질을 만들어 냅니다.
'도파민'은 흡연과 음주, 그리고 도박을 할 때 발생하는 화학물질인데, 마약과 알코올류에 대한 중독의 위험성은 누구나 알고 있기에 일반인들과 청소년들에게 제한하고 있지만, 핸드폰과 소셜 미디어로 인한 '스마트폰 중독'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제한하지 않고 있습니다.
사춘기 아이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친구들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정작 현실의 삶에서 친구들과 깊고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한 결과 친구들과 즐길 수는 있지만, 그 안에서 깊은 인간관계를 맺을 수 없게 되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해결책을 사람이 아닌 소셜미디어라는 장치에 의지하는 삶을 살아가게 됩니다.
실제로 페이스북이나 SNS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우울하고, 행복하지 않다는 사실이 이미 입증되었습니다. 아침에 눈뜨 자 마자, 잠들기 전에, 잠이 오지 않아서, 화장실에 간 친구를 기다리며, 중요한 회의 시간에, 애인과 함께 있을 때, 가족 친지들이 함께하는 자리에 언제나 핸드폰을 손에 쥐거나, 신경 쓰고 있다면, 이미 스마트폰에 중독되었다는 증거입니다.
흡연과 마약, 알코올 중독 이상으로 '스마트 폰 중독'은 우리들의 삶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은 바로 밀레니얼 세대의 많은 아이들이 깊고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법을 모른다는 것입니다.
'깊고 의미있는 관계 형성'을 할 수 없다는 것은 "직업 만족도"와 "인간관계"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습니다. 각종 기술의 발달로 인해 원하는 것은 쉽게 즉각적으로 얻는 것에 익숙하지만, 직업에 대한 만족도와 인간관계의 결과는 결코 즉각적으로 얻을 수 없는 것들입니다.
오히려 종잡을 수 없고,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며, 복잡한 과정을 겪어야 하고, 매우 불편하기까지 한데, 이러한 과정을 인내하고 견디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결혼에 이르기까지의 과정, 직장에 입사하여 조직의 문화와 분위기에 적응하며,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끼고, 자신의 삶에 의미가 있고 주변의 많은 것들을 사랑할 수 있기까지는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는 것도 함께 말입니다.
때로는 그러한 과정이 힘들고, 매우 고통스러울 수 있지만, 회피하고,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다시 도전하고, 참아내는 가운데, 소중한 것을 얻을 수 있고, 원하는 것을 성취할 수 있다는 사실을 스스로 경험하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경쟁에서 이기고, 남들보다 잘 되어야 하고, 더 훌륭해지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여 좋은 대학에 가는 것만큼, 아니 그 이상으로 이들이 인내심을 갖고 사회관계를 배워 스스로 자신감을 갖고, 삶과 기술의 균형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꼭 기억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