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이 또한 지나가리라. - 라틴어 수업 ②

mood.er 2019. 8. 10. 19:13
반응형

지난 시간 이야기했던 '숨마 쿰 라우데'(Summa com laude)를 기억하시나요?


라틴어로 성적을 평가할 때 '잘한다' 즉,  '우등, 우수, 좋음, 잘했음'이라는 긍정적인 언어로 평가하며 앞으로의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둔다는 것을 이야기했습니다. 이는 우리의 평가방식인 '잘한다, 보통이다, 못한다'식의 단정적이고 닫힌 구분이 아니므로 남과의 비교나 경쟁을 통한 우월감이나 열등감이 아닌 스스로의 발전에 보다 더 큰 의미를 부여하게 됨으로써 남보다 잘하기보다 전보다 잘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전글 보기

2019/08/09 - [인문학과 독서] - 숨마 쿰 라우데 - 라틴어 수업 ①



오늘은 <라틴어 수업> 두 번째 시간으로 '이 또한 지나가리라' 에 대해 준비해보았습니다.


한 번쯤은 '이 또한 지나가리라'라는 말을 들어보셨거나, 사용하신 적이 있을 만큼 나름대로 대중적인 말이라고 여겨집니다. 구약 성경에 나오는 인물들에 대해 전해지고 있는 유대인의 성경 주석인 미드라쉬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적혀 있습니다.


어느 날 전쟁에서 승리한 다윗왕은 승리의 기쁨을 오랫동안 간직하기 위해 반지를 제작하기로 했고, 보석 세공인에게 다음과 같은 명령을 내렸습니다.


"반지를 만들 것인데, 그 반지에 전쟁에서 승리를 거둔 기쁨을 억제하지 못하게 될 때 그러한 마음을 조절할 수 있는 글귀는 새겨 넣도록 하라. 동시에 내가 절망에 허우적거리게 될 때 그 글귀를 보고 용기를 낼 수 있어야 한다."


다윗왕의 명령대로 보석 세공인은 정말로 아름다운 반지를 만들었는데, 왕의 명령대로 반지에 새길 적절한 글귀가 떠오르지 않아 몇 날 며칠을 고민하다가 왕의 아들이 솔로몬 왕자를 찾아가 도움을 구합니다.



보석 세공 업자의 설명을 모두 들은 후 솔로몬 왕자는 이렇게 대답했다고 합니다.

"반지에 이렇게 새기십시오. '이 또한 지나가리라!'


유대인의 지혜가 담겼다고 널리 알려진 탈무드보다 더 오래된 미드라쉬에 전해지는 이야기입니다. 듣던 대로 솔로몬 왕자의 지혜는 굉장한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한동일 교수의 <라틴어 수업>에서 '이 또한 지나가리라' 에 대해 어떤 교훈과 메시지를 전해주실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라틴어 수업>


지금 당장 해결되지 않는 문제임에도 사람들은 그것에 마음이 사로잡혀 힘들어하고 또 힘들어합니다.

무엇 하나에 꽂히면 하루 종일 온통 그 생각뿐이고 잠도 잘 이루지 못해요.


하지만, 우리가 오늘 할 일을 내일로 연기하듯이 매일매일 부정적인 마음도 늘 그다음 날로 연기한다면 어떨까요? 절망. 지금 당장이라도 포기하고 싶은 마음, 누군가에 대한 분노와 같은 것들을 내일로 미룬다면요? 


저는 학생들에게 쉽지만 어려운 숙제는 가끔 내줍니다. 아침에 일어나 세수하러 갔을 때 세면대 위 거울 속에 서 있는 자신을 향해서 웃으라는 겁니다.

이것은 나 자신에  대한 위로와 격려입니다. 희망과 기쁜 일보다 절망과 고통스러운 일이 많을수록 그러한 자기 긍정이 필요합니다. 



Hoc quoque transibit!

혹 쿠오웨 트란시비트!

이 또한  지나가리라!


지금의 고통과 절망이 영원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아요. 어디엔가 끝은 있습니다. 다만 분명한 것은 언젠가 끝이 날 거라는 겁니다. 모든 것은 지나갑니다. 


우리가 한 가지 더  기억할 것은 그 말 그대로 기쁘고 좋은 일도 머물지 않고 지나간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허망하죠? 하지만, 그게 인생입니다.




앞에서 말한 미드라쉬에서 다윗왕이 보석 세공사에게 했던 명령이 떠오릅니다.


"반지를 만들것인데, 그 반지에 전쟁에서 승리를 거둔 기쁨을 억제하지 못하게 될 때 그러한 마음을 조절할 수 있는 글귀는 새겨 넣도록 하라. 동시에 내가 절망에 허우적거리게 될 때 그 글귀를 보고 용기를 낼 수 있어야 한다."


기쁨을 조절하되 절망에서 용기를 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


추천 포스트

[독서] - 피그말리온의 조각상과 로젠탈 효과

[독서] - 레밍 딜레마

[독서] - 1945년 8월 15일 광복절

[독서] - 미래의 내가 오늘의 나를 후회하지 않도록



힘든 순간도 언젠가는 지나가고, 마찬가지로 기쁜 순간도 영원히 머무르지 않고 언젠가는 지나간다는 사실, 즉, 이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다는 것은 우리 인생에 대해 많은 생각과 깊은 교훈을 남겨주고 있습니다.


이 또한  지나가리라! 

반응형